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지문과 DNA를 식별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있나요?

지문과 DNA를 식별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있나요?

지문은 사람의 손가락 끝 부분에 있는 피부의 오목면과 볼록면이 형성하는 선입니다. 지문은 손이 물체에 닿을 때 마찰을 증가시켜 힘을 가하고 물체를 잡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그것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됩니다. 지문은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사람마다 유전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문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지문의 형성은 주로 유전적인 영향을 받지만, 환경적인 요인도 있습니다. 태아가 모체에서 3~4개월 정도 성장하면 이미 지문이 형성되지만, 아이들의 지문은 성장하는 동안 조금씩 변화하게 됩니다. , 청소년기인 14세 정도가 되어야 비로소 확정된다. 피부발달과정에서는 표피층, 진피층, 기질층이 모두 함께 성장하지만 상대적으로 단단한 표피에 비해 연한 피하조직이 더 빠르게 성장하여 표피에 꾸준한 상향 압력을 가해 성장을 강제한다. 천천히 성장하는 표피는 수축되고 내부 조직을 향해 붕괴되어 피하 조직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점차 구부러지고 주름지게 됩니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위로 이동하도록 강요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래로 강제 이동하게 되어 표피가 휘어지고, 울퉁불퉁해지며, 선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굽힘과 주름의 과정은 조직 내부층에서 발생하는 상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요동치며 발달 과정이 끝날 때까지 울퉁불퉁한 능선이나 주름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는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 지문으로 형성된다. 지문에는 고리형, 활형, 나선형형의 세 가지 기본 유형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을 만드는 것은 손가락 배 표면에 대한 피하 조직의 다양한 누르는 방향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누군가의 손가락 끝이 높고 둥글면 지문이 나선형 패턴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제 과학자들은 모델을 사용하여 보다 일반적인 지문을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덜 복잡하고 희귀한 지문의 형성도 재현할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동일한 지문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각 사람의 지문은 고유합니다. 지문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최근 몇 세기 동안 범인이 범죄 현장에서 남긴 지문은 경찰이 용의자를 추적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습니다. 오늘날의 지문인식 방식은 컴퓨터화되어 지문인식 과정이 더욱 빠르고 정확해졌습니다. DNA에 대한 대중 과학 지식: 1 DNA 지문의 확립과 개발 지난 세기에 걸친 연구에서는 모든 유전자 분석이 유전자 표지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유전자 표지의 가치는 그 크기의 가변성(즉, 다형성)에 있다고 믿습니다. 유전적 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인류학, 유전학, 면역학, 법의학의 발전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의 발병기전을 밝히고 진단을 돕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다양한 외부 표현형, 생리학적 결함, 동종효소, 다형성 단백질 등을 유전적 표지로 활용하고, 이에 상응하는 유전적 유전자를 추론하기 위해 간접적인 분석을 활용해 왔다. 1970년대 후반 제한효소와 재조합 DNA 기술의 출현과 분자생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유전자 표지에 대한 사람들의 연구가 DNA 분자 자체로 전환되었습니다. DNA 분자에는 모든 종류의 유전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개체 간의 차이는 본질적으로 DNA 분자의 차이이므로 DNA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유전적 표지로 간주됩니다. 특정 DNA 서열의 차이는 점 돌연변이, DNA 재배열, 삽입 또는 결실로 인해 발생하는 제한 단편 길이 다형성(RFLP)으로 알려진 제한 단편 길이의 변화에 ​​의해 반영될 수 있습니다[1]. RFLP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사람들은 게놈-고변이 DNA 서열에서 가장 가변적인 유형의 서열을 발견했으며, 이는 DNA 유전자 마커의 개발 및 응용에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1980년에 Wyman과 White는 최초의 다중 대립 유전자, 고도로 다형성을 지닌 인간 DNA 마커를 기술했습니다. 곧, 인슐린 유전자(Insulingene)의 5'말단 영역과 종양유전자(C-Haras I Oncogene)의 3'말단 영역에서 동일한 초가변 마커가 발견되었습니다. α-글로빈(α-globin) 유전자 그룹 주변에서 3개의 다른 마커도 발견되었습니다[2]. 1982년에 Bell 등은 이러한 고도로 다형성이 있는 영역이 반복되는 짧은 시퀀스 단위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이러한 영역을 호출합니다. 작은 위성(소위성) 또는 매우 가변적인 영역(초가변) 또는 가변 개수의 직렬 반복. 1985년에 Jeffreys 등[4]은 인간 유전자 라이브러리에서 8개의 직렬 반복 서열(소위성체)을 선별하기 위해 미오글로빈 유전자의 첫 번째 인트론에 있는 직렬 반복 서열(33bp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을 사용했습니다. 재조합 클론. 서열 분석에 따르면 이들 8개의 소형 위성 반복 단위의 길이와 서열은 정확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모두 동일한 핵심 서열, 즉 GGCCAGGA/GGG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들은 남부 혼성화를 위해 두 개의 폴리 코어미니세이트-라이트 33.6 및 33.15 프로브를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낮은 엄격도 조건에서 혼성화했으며 10개 이상의 밴드를 포함하는 혼성화 맵을 얻었습니다. 서로 다른 개체의 혼성화 맵에서 밴드의 위치는 사람의 지문과 같았습니다. Jeffrey는 이를 유전적 지문이라고도 알려진 DNA 지문(5)이라고 부릅니다. RFLP DNA 지문 분석 기술은 복잡한 방법, 긴 사이클 타임, 높은 실험 조건 등의 단점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1990년에 Williams 등[6]이 처음으로 AP-PCR 기술을 보고하였고, Welsh와 McCelland[7]도 이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DNA 지문 채취 기술이 더욱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AP-PCR 기술은 무작위로 설계된 1개 또는 2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주형 DNA의 PCR 증폭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엄격도 조건, 즉 높은 Mg2+ 농도(기존 PCR Mg2+ 농도인 1.5mmol/L보다 높음)에서 먼저 사용됩니다. ), 낮음 annealing 온도(36°C ~ 50°C)에서 1 ~ 6주기의 PCR 증폭을 수행한 후 엄격한 조건에서 PCR 증폭을 수행합니다. 생성물은 2% agarose gel 전기영동 또는 6% denaturing polyacrylamide gel을 거칩니다. 전기영동으로 DNA 지문을 분리하고 얻습니다. 기본 원리는 낮은 엄격도 재생 조건에서 프라이머와 주형 DNA의 불완전한 상보적 서열이 불일치를 형성한다는 것입니다. 일치하지 않는 프라이머는 DNA 중합효소의 작용에 따라 주형 가닥을 따라 확장되어 새로운 가닥을 합성합니다. 주형 DNA가 일정 ​​거리 내에 있음 다른 단일 가닥에 프라이머 불일치가 발생하면 불일치하는 두 프라이머 사이의 DNA가 증폭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불일치는 무작위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특히 프라이머의 3' 말단에는 프라이머와 주형 사이에 특정 상보적인 서열이 있어야 하며, 이는 DNA 지문 채취를 통해 서로 다른 증폭된 단편이나 조합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한 쌍의 DNA 샘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차등 단편은 유전자 단편의 클로닝, 서열 분석, 염색체 매핑 및 생물학적 기능 연구에 사용됩니다. 우리나라의 Yang Jianchang 등[8]은 PCR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DNA 지문 검출 기술인 APHDP(Arbitrary Primed PCR Human DNA Fingerprinting)를 성공적으로 확립했으며, 또한 DNA 지문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개인 식별, 유전적 소인 및 질병 관련 특성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DNA 지문의 식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84년 영국 레스터 대학의 유전학자인 Jefferys와 그의 동료들은 분리된 인간 소형 위성 DNA를 처음으로 유전자 탐침으로 사용하여 이를 효소로 소화된 인간 핵 DNA 단편과 혼성화시켰습니다. 여러 유전자좌에 있는 대립유전자로 구성된 다양한 길이의 하이브리드 패턴을 얻었습니다. 이 패턴은 두 사람에게서 거의 동일하지 않으므로 개인의 고유한 지문과 동일하다는 의미에서 "DNA 지문"이라고 합니다. DNA 지문 이미지는 제품의 바코드처럼 X선 필름에 일련의 줄무늬로 나타납니다. DNA 지문 채취는 RFLP(제한 단편 길이 다형성) 분석, 직렬 반복 서열 분석, RAPD(무작위 증폭 다형성 DNA)와 같이 DNA 다형성(서로 다른 개인 또는 유기체의 서로 다른 집단 간 DNA 구조의 차이)을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만들어냈습니다. 분석 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분석 방법은 DNA 다형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별 특이성이 높은 DNA 지문을 생성합니다. DNA 지문은 높은 가변성과 안정적인 유전성을 갖고 있으며, 여전히 단순한 멘델식 방식으로 유전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매력적인 유전자 마커가 되고 있습니다. 1. DNA 지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높은 특이성: 연구에 따르면 두 명의 무작위 개인이 동일한 DNA 패턴을 가질 확률은 3×10-11에 불과합니다. 두 개의 프로브를 동시에 비교하는 경우 두 개인이 정확히 동일할 확률은 5 미만입니다. ×10-19. 세계 인구는 약 50억, 즉 5×109입니다. 따라서 일란성 쌍둥이가 아닌 이상 두 사람이 정확히 동일한 패턴의 DNA 지문을 갖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2. 안정적인 유전성: DNA는 사람의 유전 물질이며 그 특성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습니다. 분석 결과 DNA 지문의 거의 모든 밴드는 부모 중 한 사람의 지도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밴드는 고전적인 멘델의 유전 법칙을 준수합니다. 즉, 두 부모의 특성 중 평균 50%가 전달됩니다. 자손에게. 삼. 체세포 안정성: 즉, 혈액, 근육, 머리카락, 정액 등과 같은 동일한 사람의 여러 조직에서 생성된 DNA 지문 패턴이 완전히 일관됩니다. 1985년에 Jefferys 박사는 처음으로 법의학 식별에 DNA 지문 채취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1989년에 이 기술은 미국 의회에서 공식적인 법의학 증거 방법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경찰은 수천 건의 어려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DNA 지문 기술을 사용해 왔습니다. DNA 지문 채취 기술은 전통적인 법의학 검사 방법에 없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년 전 정액 반점과 혈액 얼룩 샘플에서 DNA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검사를 사용하면 시간이 연장됩니다.

이 밖에도 천년 전 시신의 신원 확인과 러시아 혁명 당시 처형된 니콜라스 차르의 유해 신원 확인, 최근 사고로 사망한 고(故) 브라운 미국 상무장관과 수행원의 신원 확인 등이 이뤄졌다. 구 유고슬라비아는 모두 DNA 지문 기술을 사용합니다. 또한, 인간의 의학에서는 개체 식별, 친족 관계 결정, 의학적 진단 및 질병과 관련된 유전적 표지를 찾는 데 사용되며, 동물 진화에서는 종 분류에서 동물 개체군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탐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종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동일한 종의 다른 계통을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작물 유전자 매핑 및 육종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DNA 핑거프린팅 방법의 기본 작동: 생물학적 시료(DNA는 일반적으로 부분적으로 분해됨)에서 DNA를 추출하고 PCR 기술을 사용하여 가변성이 높은 부위(예: VNTR 시스템, 직렬 반복 소형 위성 DNA 등)를 증폭하거나 완전한 게놈 DNA 그런 다음 증폭된 DNase에 의해 DNA 조각으로 절단되고,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으로 분리되어 분자량에 따라 분리된 후 나일론 필터로 옮겨진 다음, 표지된 미니위성 DNA 프로브를 상보적인 염기와 혼성화시켜 DNA 조각을 막에서 분리합니다. DNA 지문은 자가방사선 촬영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은 DNA 단편을 분리, 식별 및 정제하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낮은 농도의 형광 인터칼레이팅 염료 에티듐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염색하면 겔 내 DNA의 위치가 결정됩니다. 필요한 경우 다양한 클로닝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DNA 밴드를 젤에서 회수할 수도 있습니다. 아가로스 겔의 분리능은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비해 낮지만 분리 범위는 더 넓습니다. 다양한 농도의 agarose gel을 사용하여 200bp ~ 50kbp에 가까운 길이의 DNA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전기장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펄스 전기장 겔 전기영동을 이용하면 길이가 100kb 이상인 DNA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유전공학의 일상적인 작업에서는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이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수평 전기 영동 장치를 사용하여 일정한 강도와 방향의 전기장 하에서 전기 영동을 수행합니다. DNA 분자는 젤 완충액(보통 알칼리성)에서 음전하를 띠고 전기장에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합니다. DNA 분자 이동 속도는 분자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습니다. 전계 강도 및 방향, 염기 조성, 온도 및 삽입 염료와 같은 요인의 영향. 2 DNA 핑거프린팅 기술에 사용되는 프로브 DNA 핑거프린팅 기술이 확립된 이후 이 기술은 동식물의 진화관계, 유전관계 분석, 법과학 분야에서 급속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Jeffrey 등의 프로브 외에도 인공화학합성이나 DNA 지문분석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한 것은 DNA 핑거프린팅 기술이 핵산 분석에서 큰 활력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생물학적 조직을 추출하고 증폭하여 높은 수준의 프로브 배치가 생산되었습니다. 지금까지 DNA 핑거프린팅 기술에 사용된 프로브로는 프로브33.15, 33.6〔5〕, 박테리오파지 MB〔9〕, 돼지 반복클론 p83, PGB 725, 18.1을 함유하는 폴리(GT), (GTG)5/(CAC )5 등이 있다. [10,11], (CAC/TA)4 및 (GT)12 등 동시에, 프로브의 표지화에 있어서 큰 발전이 있었습니다. 구조에 따라, 그들은 대략 작은 위성 프로브와 단순 반복 서열 프로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 반복 서열에는 마이크로위성 프로브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가 포함됩니다. 작은 위성 프로브의 핵심 서열은 33bp이며, 이는 종종 인간 상염색체의 전말단 영역에 위치합니다. 마이크로위성 프로브는 10~20bp 사이인 반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는 10bp 미만이며 전체 인간 염색체에 널리 분산되어 있습니다. 유전자간 영역이나 인트론 내에서. 1988년에 우리나라의 Wu Xinyao et al.[12]은 DNA 지문이 인간 게놈에서 반복되는 서열의 RFLP라는 원리와 인간과 쥐의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MBP) 유전자 사이의 cDNA 서열 상동성이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마우스를 선택했습니다. MBP cDNA의 3' 말단에 있는 서열(비발현 영역의 매우 무거운 서열, 인간 게놈의 이러한 유형의 반복 서열과 거의 완전히 상동성), 길이 0.81kb, HaeIII(RF)로 소화된 인간 DNA 제한 단편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로 사용되었으며, 모집단에서 22개의 스펙트럼 밴드를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된 30명의 관련 없는 개인 중 두 사람의 스펙트럼 밴드가 정확히 동일하지 않아 개인별 특이성이 높습니다. 국내 최초로 자신의 힘으로 DNA 지문에 대한 탐침을 찾아낸 방법이다. 3 DNA 지문의 응용 3.1 법의학 이전의 혈액형 판별 방법과 비교하여 DNA 지문 기술은 법의학 분야에서 비교할 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범죄 식별, 친자 확인 테스트 및 개인 간의 유전적 관계 결정을 위한 도구가 되었습니다[5, 13]. 이후 국내 학자 Li Boling [14], Jiang Xianhua [15], Wu Xinyao 등 [12]도 이 기술을 잇달아 연구하여 실제 사례 식별에 적용하여 과거에 해결하지 못했던 어려운 사례를 해결했습니다. , 혈흔 흔적, 부분적으로 손상된 신체 부위에 대한 개인 식별 등.

3.2 동물 및 식물 과학에의 적용 3.2.1 생물학적 개체군 연구는 DNA 지문을 사용하여 연관 불균형을 추정하고,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하며, 서로 다른 개체 간의 재조합 비율을 추정합니다. 이는 개체군 연구에서 개체의 상태와 관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곰팡이 개체군 연구의 경우 많은 곰팡이가 유성 및 무성 생식을 할 수 있지만, 언제, 어떻게, 어느 정도로 번식하는지에 대해서는 DNA 지문을 사용하여 유성 및 무성 자손을 구별하고 자연 분포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의 곰팡이 [1, 16]. 3.2.2 종 간의 유전적 거리 결정 및 종의 분류 및 식별 Jeffreys 등 [5]은 한 그룹의 서로 다른 구성원 사이의 VNTR(복사본 수)이 유전 분석의 구성 요소로 특히 적합하다고 믿습니다. 다형성 마커의 경우 단순 반복의 불안정성은 VNTR 길이의 급격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번식 집단에서 VNTR의 분리 및 재조합 빈도에 따라 유전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통계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 간의 유전적 관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D =2Nab/(Na+Nb), D 값이 클수록 유전적 관계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거리가 작아지고, D 값이 작을수록 유전적 관계가 멀어집니다. 유전적 거리가 더 멀다. 이를 위해 DNA 핑거프린팅 기술은 서로 다른 종, 동일종, 동일종의 서로 다른 개체의 친족관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종의 분류 및 식별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잡종 자손, 잡종 자손 그룹을 분리하고, 거의 동질적인 계통(또는 유사한 종)을 탐지하고, 탐지된 유전자를 찾습니다. Welsh 등[7]은 Borrelia brucei 계통의 DNA 지문을 분석하여 이 라임병의 병원성 박테리아가 실제로 세 가지 다른 개체군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Luo Chaoquan 등[12]은 AP-PCR을 사용하여 Toxoplasma gondii 균주를 식별하여 생물학적 분류를 위한 DNA 지문 기술을 사용하는 국내 선례를 만들었습니다. 3.3 전염병학에서의 적용 DNA 지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게놈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고, ② 높은 수준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③ 간단하고 안정적인 유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④ DNA 지문 스펙트럼은 체세포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역학조사 방법과 비교하여 비교할 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역학조사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Jan DA 등[17], Denise Chevrel-Dellagi 등[18]은 IS6110 서열을 프로브로 사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DNA 지문 분석을 수행했으며, 국제적으로 결핵 유형을 조사하고 전염병 상황을 분석하여 개선했습니다. 결핵을 관리하는 방법. ZhenHua Yang 등은 67명의 환자로부터 Mycobacterium tuberculosis 균주를 분리하고 DNA 지문 분석을 수행한 결과 PTBN12 유형이 분리되면 전염병 연결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신속한 질병 통제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Tong Xiaomei 등[20]이 무작위 증폭 다형성 DNA 지문 채취 기술을 사용하여 병원 감염이 있는 14명의 신생아에 대한 병원성 역학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린이의 몸에 운반된 Staphylococcus Warneris가 어린이의 코에 운반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의료진의 DNA 지문은 완전히 일치해 이번 감염의 병원성 세균은 포도상구균이고, 감염원은 세균을 보균한 의료진이라는 것이 입증됐다. Guo Yongjian 등[21]은 6개월 이내에 산과 신생아 121명 중 30명에서 발견된 녹농균 31종에 대해 RAPD 지문 분석 및 혈청학적 유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과에서 녹농균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6/R:1 유형은 병원 감염에서 병원성 박테리아를 분류하고, 감염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염 경로를 차단하고, 병원 감염을 통제 및 예방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됩니다. 3.4 질병 진단 및 치료 DNA 지문의 위와 같은 특성을 고려할 때 DNA 지문은 일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Morral [22] 등은 CF 유전자의 엑손 9 옆에 작은 위성 영역이 있으며, 이 대립 유전자 2.6은 종종 △F508과 연결되며, 연관성 비율은 50.6%이고 △F508이 가장 높습니다. 중요한 병원성 돌연변이는 의심환자의 전기영동 패턴에서 2.6 대립유전자가 발견되면 해당 질병의 예비진단이 가능하다. 윌슨병, 말초신경섬유종, 성인다발성신장질환, 도파근긴장증, 프레크브라이히 운동장애, 칼문 증후군, 망막병증 등의 유전자 내부 또는 그 옆에 고도의 작은 위성 영역이 발견되어 유전적 진단이 가능합니다. Okamoto R[23]은 DNA 지문을 이용하여 골수이식 후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재발을 예측하고 성공하였다. 3.5 종양에 대한 연구 종양은 다요인, 다단계 변화 과정입니다. 원인은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최종 분석에서는 여전히 DNA의 변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암조직의 DNA지문과 전이된 DNA지문은 정상조직이나 말초혈액세포의 DNA지문과 차이가 있으며, 흔한 것은 특정 띠가 하나 또는 여러 개 존재하지 않거나, 특정 띠 또는 띠의 밀도가 감소하는 것, 또는 암 조직에 새로운 것이 출현합니다. Thein 등은 환자의 DNA 지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33.6과 33.15를 프로브로 사용했으며 위장 종양 환자의 암 조직의 모든 DNA 지문에 변화가 있음을 발견했으며 체세포 돌연변이도 종에 따라 다르다고 믿었습니다.

Liu Shuang 등[25]은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6명의 간암 환자의 암 조직과 비암성 조직을 분석한 결과, 모든 간암 조직에서 게놈 DNA의 RAPD 지문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 그 중 3쌍의 간암 게놈에는 동일한 0.9Kb의 무작위 증폭 단편이 있습니다. Yang Jianchang 등은 APHDFF 기술을 사용하여 비인두암 진단을 받은 28명의 환자의 혈액 DNA 지문을 검출한 결과 3개의 DNA 단편의 빈도가 건강한 사람의 빈도보다 현저히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Wang Dai 등은 [26] LE11.8, MYO 및 Mb 프로브를 사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을 통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12명의 어린이의 말초 혈액 또는 골수 세포에서 유전자 재배열을 탐지했습니다. DNA 지문과 비교하여 밴드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 어린이의 백혈병 세포에 유전자 재배열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참고 자료:/question/1318044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