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황종시 민본사상과 루소 민주사상의 본질적 차이.
황종시 민본사상과 루소 민주사상의 본질적 차이.
2. 사상의 내용이 모두 비슷하다. 우선, 국가 권력의 기원에 대해 논의할 때, 둘 다 이런 자연 상태의 사람이 이기적이고 평등하고 자유롭다고 가정하는 자연 상태를 가정한다. 둘째, 봉건군주독재제도에 대해 두 사람 모두' 주권권력은 인민이 수여한다' 는 이론을 제시했다. 원준에서 황종희는 봉건 군주독재정권의 합법성을 흔들어 군권의 근원에 의문을 제기했다. 루소도 봉건 군주 독재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는 "독재제도가 신민을 통치하는 것은 그들의 행복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을 통치하기 위해 그들을 가난하고 고통스럽게 하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 (1) 그는' 주권재군' 을' 주권재민' 으로 바꿨다. 셋째로, 두 사람 모두 법치를 주장하고, 황종희는 유가의 인치사상을 반대한다. 그는 현행법이' 일가의 법' 으로 군주의 이익을 수호하는 것을 기초로 소수의 이익만 보호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세계의 법' 건립을 주장하는데, 이것은 그의 법치사상의 가장 선진적인 부분이다. 루소도 법치를 극력 주장했다. 그는 인민 주권이' 공의' 에 반영된다고 생각한다. 즉 절대다수의 의지는 법이' 공의' 의 외적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인민주권 원칙을 따르려면 법치를 실시해야 한다.
1 .. 봉건 군주제에 대한 비판의 정도가 다르다. 황종희와 루소가 봉건군주독재제도를 비판할 때 황종희는 깊이 루소보다 못하다. 황종희의 비판과 부정은 단지 소수의 잔인한' 악' 군주, 즉 권력을 자신의 손에 쥐고 있는 봉건 독재군주일 뿐이다. 전복된 것은 단지' 악' 의 정치, 즉 봉건제제였다. 그는' 좋은' 군주, 즉 신하에게 권력을 내려놓으려는 군주를 주장하며 군주제도에 대한 환상을 품고 있다. 그래서 황종희는 봉건제제를 비판했지만, 제제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루소의 봉건 군주제에 대한 비판은 철저하다. 그는 모든 봉건 군주를 비판할 뿐만 아니라 봉건 사회 전체의 제도를 부정했다. 루소는 봉건 군주독재적인 나라에서는 국가의 모든 권력이 왕의 손에 달려 있으며, 이런 권력은 항상 전체 국민의 이익을 대표하지 않고 왕의 이익을 위해 봉사한다고 지적했다. "왕의 사리사욕은 국민의 빈약함에 있다. 인민은 영원히 왕에게 반항할 수 없다."
다른 정권이 존중됩니다. 황종희와 루소가 봉건제제에 대한 비판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추앙하는 정권도 다르다. 황종희는 봉건제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봉건전제제도에 대한 일련의 수리를 주장하여 현황을 변화시킨다. 그래서 그는 여전히 봉건제제, 즉' 선함' 의 제제를 추앙한다. 황종희는 여전히 제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어느 정도의 역사적 한계가 있지만, 그의 분권화 이념은 현대 민주주의에 큰 걸음을 내디뎠으며, 긍정할 만하다. 루소는 봉건 군주와 귀족을 강력하게 반대하며 민주주의 수립을 주장하지만, 가장 이상적인 민주주의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 도시 국가와 같은 직접적인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 그는 인민의 주권은 양도도 분할도 할 수 없고, 인민 스스로만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분명히, 루소의 직접 민주주의는' 유토피아' 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현대 국가들에게는 조작할 수 없는 것이다.
3. "민주주의" 의 내용에 대한 다른 해석. 황종희는' 천하 위주, 군객' 이라는 사상을 제시했지만' 주권재민' 이라는 관념이 부족해 루소처럼' 주권재민' 이라는 뚜렷한 기치를 직접 내세우지 않았다. 황종희는 천하 사람들이 모두 평등한 권리를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단지 그 문인들에게 권력을 부여했을 뿐이다. 그는 봉건 경제의 제약 하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권리 의식이 없기 때문에 권력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단지 그들의 유일한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좋은' 군주가 필요할 뿐이다. 이로써 황종희의 사상은 여전히 봉건전통의 민본사상으로, 루소의 민주사상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법의 지배" 에 대한 다른 이해. 황종희와 루소는 모두 법치의 이념을 숭상하지만, 법치의 내포에 대한 그들의 이해도 다르다. 황종희의 법치사상은 주로 일련의 통치방법이며, 그 주요 내용은 "밭을 경작하고, 논을 산마로 수여하고, 흥을 배우고, 결혼식을 음행을 방지하고, 죽음을 증정하여 혼란을 방지하는 것" 이다. 이 사상들은 모두 민주주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루소의' 법치' 는 법률의 구체적인 내용과 조항이 아니라 일련의 법치의 기본 원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법은 공공의 구현' 이라고 생각한다. 즉 법은' 공의' 를 기초로 한 것이다. 황종희의 법치 사상의 내포는 루소보다 더 간단하고 구체적이다.
후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황종희와 루소와 그의 정치 사상은 각 나라와 세계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모두 인류 사상의 보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후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황종희는 중국의 이후 변법과 봉건제제를 전복시킨 신해혁명에 대한 이론적 지원을 제공했을 뿐, 중국이 봉건제제를 전복한 후 어떤 치국길을 모색하는가에 대한 경로 선택을 제공하지 않았다. 루소의 사상은 프랑스에서 획기적인 혁명 열풍을 일으켜 프랑스 자산계급 혁명을 고조시키고 민주주의와 국가의 미래 발전을 위한 완전하고 정확한 이론적 틀을 마련했다. [출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