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장례 문화는 어떻게 변화해 왔나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장례 문화는 어떻게 변화해 왔나요?

장례식은 중국 문화 발전의 역사 속에서 장례 방식도 다양하지만 장례 풍습도 다양하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로 항상 상징체계로 존재한다. 그것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이면, 즉 귀신과 신의 세계를 상징할 뿐만 아니라, 삶의 이면에 있는 현실세계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것은 알려진 세계와 알려지지 않은 세계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개념과 견해를 반영합니다. 그것은 다양한 역사적 시대 사람들의 공통된 이해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그 시대의 흔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류학적,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장례 풍습은 인간이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가 어느 정도 발전한 후에야 나타나는 현상이다. 초기 인류는 죽은 뒤에 사람을 묻어주지 않고, 죽은 뒤 시체를 그 자리에 버리고 무시했다. 예를 들어 『맹자 등문공』에는 “과거에는 친족을 장사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 친족이 죽으면 무덤에 맡겨두는 것이 인간의 첫 번째 장례행위이다.” 시체. 사회적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지능은 점차 향상되었으며, 인간은 '영혼'과 '육체'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는 "몸"을 떠나므로 "몸"에는 의식이 없습니다. 미래에는 '영혼'이 '몸'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산 사람은 고인의 '몸'을 보호해야 한다. 이런 종류의 "신체" 보호는 초기 장례 활동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장례풍습은 이미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나타났다. 고고학자들은 베이징 주구점산 동굴 유적의 아래쪽 방에서 무덤 유적을 발견했습니다. 신석기시대 후기에 이르러 씨족 간 귀족과 신분의 분화가 심화되면서 장례식에서 종교적 의례행위가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고대 중국의 장례의식이 기본적으로 자리 잡았다.

고대 우리나라에는 사람이 죽은 뒤 장례 풍습이 지역마다 달랐다. '삼장'과 '사장'이 있었다. 『당서기(唐西地土)』 제2권에는 “장례의식은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쌓인 봉급을 태워버리는 화장(葬葬)이고, 둘째는 물에 휩쓸려 가는 수장(葬葬)이다. 세 번째는 숲을 버려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야생 장례이다.” 『고대 중국의 장례예식』에서는 “고대에는 장례 방법의 형성이나 선택이 사람들의 생활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매장은 주로 숲에 사는 소수 민족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의 고대 키탄 사람들은 시체를 나무에 걸었습니다. 두롱 부족과 같은 수생 부족은 시체를 강에 던지고 몇 년 후에야 태워집니다. 중국 북서부의 적족과 강족은 고산지대에 살기 때문에 불의 중요성이 특히 중요하며, 장례식에서는 불을 매개로 삼는다. 피어오르는 연기와 함께 천국으로 떠오른다." (Wan Jianzhong, 1판, Beijing Library Press, 1998)

역사적, 지리적, 민족적 이유로 인해 화장, 석관 매장, 석창 매장 및 매달린 관 매장지는 당창(Dangchang), 선랑(Shenlang), 바이마(Baima), 덩(Deng) 등의 강(Qiang)족과 디(Di)족이 살았던 간쑤(Gansu)의 고대 롱난(Longnan)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며 현대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석관 매장. 돌을 원료로 매장 도구를 만드는 것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남서부, 북서부, 북동부 및 남동부 지역에서 널리 발견됩니다. 『화양국지·서지』에는 “주나라가 패망하고 촉이 먼저 왕을 선포했다. 촉후의 누에나무가 있었는데 눈이 크게 떠졌다”는 기록이 있다. , 그는 죽은 후 처음으로 왕이되었고, 이후 중국인들은 관례적으로 석관을 인간 무덤으로 사용했습니다. "오늘날 중상부에는 당창, 주곡, 문현이 있습니다. 백룡강과 백수이강, 그리고 민강 상류의 쓰촨성 송판, 마오원, 핑우 두 곳 모두 고대 강족의 '석기문화권'에 속합니다. 1970년대 문화재 조사에서 현재 주취(周港)와 당창(唐昌) 지역의 마자야오 문화(Majiayao Culture)와 시와 문화(Siwa Culture) 유적의 대부분이 흙구덩이와 석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즉, 주변과 상단과 하단을 커다란 암석이나 화강암으로 덮는 매장양식이다. 민강 상류 지역의 초기 적족과 강족의 석관 매장 문화와 동일한 시대 및 유형에 속합니다. 무덤에서 수집한 부장품으로는 석판석칼, 곡식 분쇄기, 긁는 도구, 도마 도구 등이 있으며, 질감이 단단하고 모양이 규칙적이며 잘게 갈아져 있습니다. 고대 강족의 석재 제작 기술이 매우 정교했음을 알 수 있다.

2. 돌탁묘라고도 불리는 돌창식묘. 땅바닥에 석판 4개를 세우고 또 다른 석판으로 덮어 만든 무덤이다. 신석기시대 후기와 청동기시대에 널리 퍼져 있으며, 서유럽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고고학적 발견으로 우리나라 동북부 요동반도 등에서도 이러한 무덤이 발견되었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이 석조 창고는 9,000년 된 것입니다.

이런 장례 방식은 1970년대까지 당창군 난양 지역에 여전히 존재했다. 예비 조사에 따르면 수당 시대에 요동에서 서쪽으로 이주하여 한때 단주를 통치했던 투유훈족이 고향에서 가져온 장례 방식으로, 나중에 강족의 후손들에게 받아들여 후대에 전해졌습니다. .

3. 화장. 시신을 불로 태워 그 재를 용기에 담은 뒤 매장하거나 보존하는 장례법이다. 중국의 실제 화장은 원시사회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최근 고고학자들은 중국의 화장 풍습이 원시사회에서 유래했다는 많은 증거를 제시해 왔습니다. 간쑤성 고고학자들은 간쑤성 린타오현 사와산 선사문화 유적지를 발굴하던 중 인골이 담긴 토기를 발견했습니다. 시와문화층은 후기 원시사회의 청동기문화에 속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화장풍습이 원시사회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충분히 입증하는 것이다.

고대 중국 문헌에 따르면 중국에는 일찍이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부터 화장 풍습이 존재했다고 한다. 간쑤(甘肃), 칭하이(靑海) 및 우리나라 서부의 다른 지역의 소수민족과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Liezi Tang Wen", "Lu Shi Chun Qiu Yi Shang", "Xunzi Dali"및 기타 장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묵자·거장』 기록에 따르면, “진(秦) 서쪽에 이곡(儀橋)국이 있는데, 그 새 친척이 죽으면 장작을 모아 태워 버린다.” 이곡은 오늘날 감숙(甘肃)성 청양(靑陽)에 있음을 보여준다. 진나라 시대에는 서북지방에 화장이 있었고 매우 성행하였다.

황하 유역 상류에 위치한 사와산 유적지는 원래 디창족 문화 구역에 속하며, 오늘날 룽난의 토착 문화는 사와 문화 범주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지난 세기에 발굴된 많은 고분에서는 불에 탄 인골더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태평위란·사이부』가 『장자』를 인용하여 “강족이 죽으면 그 재를 태워 흩뿌린다”는 기록이 있음을 증명한다. 관세. 이 풍습은 오늘날에도 우두(Wudu), 당창(Dangchang), 주곡(Zhouqu)의 티베트인(원래 강족의 후손)이 사용하고 있지만 그들의 방법은 과거보다 훨씬 더 발전되고 문명화되었습니다.

4. 관매장, 일명 '풍장'. 이 장례 풍습은 저자에 의해 1970년대 초 당창현 민강(고대 강강) 유역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처음 도착했을 때 현지인들에게 물어보니 다들 '건매장'이라고 하더군요. 저는 그게 뭔지만 알았을 뿐 그 이유는 몰랐습니다. 나중에 Guo Moruo의 "Suiyuan Poetry 읽기 노트"에서 "석관과 홍교"라는 기사를 읽었을 때 나는 수년 동안 내 마음 속에 있던 미스터리를 풀었습니다.

이번 '건장'은 '바람장'이라고도 불리는 '매장'인 것으로 밝혀졌다. 매장 방법. 방법과 단계는 새로 죽은 시신을 나무 통째로 만든 '카누식' '배관'에 넣어 높은 산 절벽에 매달고 바람과 비를 불어넣은 뒤 가죽을 벗기는 것이다. 시체, 근육, 머리카락 등은 빠르게 분해되고 분해되어 뼈대만 남게 되며, 이를 꺼내어 특수 나무 상자나 점토 냄비에 넣고 천연 또는 인공 동굴에 숨겨 놓고 그 옆에 돌 틈새를 파냅니다. 동굴 속에는 고인의 목상이 생전 입었던 옷을 그대로 입고 있으며, '유령당' 또는 '향락당'이라 불리며 난간이나 창틀로 보호되어 있다. 이 매장 스타일은 "난간 스타일"주거 건축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남부 소수 민족의 독특한 문화 요소가되었으며 둘 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입니다. 이 매장 방식은 한때 우리 나라의 쓰촨성, 윈난성, 광시성, 호북성, 후난성, 장시성 및 기타 지역에 널리 분포했으며, 그 북쪽 가장자리는 산시성 웨이수이강, 간쑤성 강수이, 허난성 뤄수이까지 확장되었습니다.

'북사·당창전기'에 따르면 "당창강 사람들이 처음으로 삼묘의 음을 취재했다." '사기·오제1기'에 원본이 기록되어 있다. 요순(堯順) 치하의 삼먀오족이 발달하다 부족들이 자주 반란을 일으키고 전쟁에서 패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요오는 순에게 “세 가지 위험 속에서 세 묘목을 땀을 흘려 희롱을 토벌하라”고 명령했다. (Longnan Bailongjiang 유역의 Qiang Rong 포함) Wudu 현 Pingya 향, Dangchang 현 Guan'e 향, Zhouqu 현 Gongba 및 Boyu 향에 거주하는 티베트인은 Sanmiao 조상입니다. 따라서 조상들의 장례 방식은 묘족과 바족의 '매장 방식'을 계승한 것입니다. '매관장'에서 관을 안치하는 장소와 방법은 중국과 외국의 기록에 근거하며, '바위장'(즉, 절벽에 꽂은 나무 말뚝에 관을 놓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리고 '암굴장'(절벽의 자연절벽에 관을 놓는 것), '청둔장'(관을 벼랑의 튀어나온 부분에 놓는 것)이 있다. 록) 등 그들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강 근처의 절벽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관은 산꼭대기에 밧줄로 매달아 미리 놓아둔 바위더미나 동굴에 안치됩니다. 관이 땅에서 높을수록 후손들에게 효도가 높습니다. 오늘날 소위 "관습의 변화"는 실제로 고대 화장 전통의 유산입니다.

또한 당창강의 후손들 사이에서는 '시체를 즐겁게 하는 풍습'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으면 애통해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그러나 어떤 민족에서는 장례식 때 노래하고, 울고, 춤을 추고, 심지어 오페라까지 부르는데, 이것이 바로 결혼식의 분위기라고 한다. 재미있는 시체들." . 예를 들어 『동춘현기』에는 “묘족이 죽으면 친척들을 모아서 웃고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시체 만들기’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윈난의 "마관현 연대기"는 묘족을 말합니다. 사람의 장례식에서는 "사람이 죽는 순간부터 사람이 묻힐 때까지 밤낮으로 북과 갈대를 연주하여 귀신을 즐겁게 합니다." 민국 33년 편찬 『문천현기·풍도기』 제5권에는 강족의 장례풍속을 '장례풍속'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어떤 문인들은 "농사짓고 길쌈하던 노고가 남아 있고, 혼례와 장례식에서 노래하던 옛 풍속이 남아있다" 등의 감동적인 시로 강족의 풍속을 칭송하기도 했다. 일부 마을에서는 특히 "큰 밤"(장례 전날 밤)에 시비(샤먼)가 "샤랑"(장례식 춤)을 추고 고인의 시신 주위에서 비가를 부르는 장면이 매우 감동적이어서 사람들이 감동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티베트인인 당창 소수민족 중에는 "벤벤"(종교 전문가)이 초대되어 장례식 때마다 "벤벤경"을 낭송합니다. '벤벤춤'으로 통칭), 통칭 '소머리 말탈춤'(춤팀에 소머리와 말머리 탈을 쓴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이는 모두 약강족과 백마강족의 토템 숭배이다. 3일 "시체를 접대"한 후 장례식으로가는 길에 댄스 팀 전체가 종과 북을 울리고 갑자기 전진 및 후퇴하고 좌우로 돌아 고대 민디 산맥의 "간바로드"댄스 계단을 따라갔습니다. , 거칠고 엄숙한 원시 춤으로, 세상을 떠난 옛 친구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친척들의 슬픔과 기대를 표현합니다.

참고 자료: /ReadNews.asp?NewsID=7545&BigClassid=9&SmallClassID=26&SpecialID=0&belong=s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