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중국과 서양의 다양한 시대에 식사에 사용된 도구와 그 발전과정

중국과 서양의 다양한 시대에 식사에 사용된 도구와 그 발전과정

고대에는 젓가락이라고도 알려진 젓가락은 동아시아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식사 도구로, 음식을 집어 들고 음식을 입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젓가락은 약 3천~5천년 전에 발명되었으며 나무, 대나무, 금속, 상아, 현대식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여러 나라의 젓가락 특징

중국: 대부분의 젓가락은 대략 입방체 모양이며 머리와 꼬리 부분이 약간 더 얇을 뿐입니다. 대나무는 비교적 빠르고 넓게 자라기 때문에 대나무 젓가락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요리에 특별히 사용되는 거대한 긴 젓가락도 있는데, 일본어로 '차이시 젓가락'이라고 합니다.

일본: 젓가락은 머리가 뾰족하며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거나 옻칠을 합니다. 이름은 고대 중국어 "箸"에서 따왔습니다.

한반도 : 전쟁으로 인해 젓가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젓가락은 두 개의 평평한 금속 조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젓가락과 나이프와 포크는 중국과 서양 문화의 차이와 숨겨진 과학적 원리를 반영합니다.

젓가락은 매일 먹는 사람에게도 익숙합니다. 수프를 제외하고는 편리하고 실용적입니다. 젓가락 사용에 익숙한 중국인들은 외국인의 칼과 포크에 매우 불만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식사를 하기 위해서라도 칼과 포크, 숟가락이 길게 줄지어 늘어서 있는데, 우연히 큰 음식을 마주치면 당황하게 된다. 시작하려면 양손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런 생각을 할 때마다 마음속으로 많은 자부심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짐작할 수는 없지만 이 두 개의 간단한 막대에는 실제로 많은 지식이 들어 있습니다.

젓가락의 유래는 주(周)나라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이름은 강남(江南)의 민간 금기와 관련이 있다.

인간의 음식을 담아낸 역사를 말하자면, 이 젓가락은 나이프와 포크의 조상이라 할 수 있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머리를 비비고 피를 마셨으며' 주로 손으로 음식을 먹었습니다. '사람과 원숭이가 작별 인사를 했다'고 해서 사람들은 음식을 요리하는 것이 더 맛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진나라 이전 시대에는 사람들이 식사할 때 일반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예서(禮書)에 따르면 당시 사람들은 손으로 밥을 입에 넣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중에는 음식을 구울 때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해 음식을 놓고 뒤집는 데에도 대나무 가지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했고, 솥에 고기나 야채국을 끓일 때도 사용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영리한 조상들은 점차적으로 대나무 조각을 사용하여 음식을 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것이 젓가락의 최초 원형이었습니다.

고대에는 젓가락을 간단히 젓가락이라고 불렀다. 젓가락의 유래는 《예서》, 《순자》, 《사기》에서 모두 젓가락을 언급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비자"는 방탕과 사치를 위해 사용되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유명한 주왕은 "코끼리 젓가락"을 사용하여 식사했습니다. 절강대학교 유슈링(You Xiuling) 교수는 동서양의 식사 도구, 젓가락, 칼과 포크의 차이는 젓가락이 대나무가 있는 곳에서 유래했음이 틀림없다고 믿습니다. 동한시대 서심(徐興)의 『설문결자』에서는 “젓가락은 대나무 소리를 따라간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트>에는 "국물에 야채가 있으면 祢을 쓰고, 국물에 야채가 없으면 梜을 쓴다"고 적혀 있다. 일부 학자들은 "梜同木"이 나무를 의미한다고 믿습니다. 우리나라의 북쪽에는 나무가 많고 남쪽에는 대나무가 많고, 우리 조상들이 그 지역의 재료를 사용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대나무와 나무가 모두 우리 나라에서 가장 원시적인 젓가락의 원료가 되었을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 왕조 무렵까지는 젓가락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箸"은 "젓가락"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고대 강남 수향 마을의 민속 풍습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항해할 때 '살다'라고 말하지만, 뱃사공은 식사할 때 젓가락 없이는 살 수 없습니다. 두 사람의 발음이 똑같기 때문에 나중에 흔히 말하는 '쿠아이'와 구별하기 위해 간단히 '쿠아이'로 바꿨습니다. 대나무가 추가되었습니다.

칼과 포크는 유럽인의 식습관에 적응했기 때문에 등장했고, 젓가락은 동양과 서양의 서로 다른 생활관에 영향을 미쳤다.

나이프와 포크의 등장은 젓가락보다 훨씬 늦다. You Xiuling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칼과 포크의 원래 기원은 고대 유럽 유목민의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으며, 그들은 즉시 칼을 가지고 다녔으며 종종 고기를 요리하고 잘라서 먹었습니다. 나중에 정착한 이후 유럽은 축산업이 지배하게 되었고, 빵과 기타 비주식 식품을 손으로 직접 먹었습니다. 주식은 쇠고기와 양고기를 칼로 썰어 입에 넣는다. 도시에 정착한 후에는 칼과 포크가 가족의 부엌에 들어오게 되었기 때문에 들고 다닐 필요가 없었습니다. 이로부터 오늘날 서양의 주요 식기인 칼과 젓가락은 서로 매우 다른 정체성을 갖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조리하여 먹을 수 있으며 식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5세기 무렵 유럽인들은 식사 자세를 개선하기 위해 끝이 두 개인 포크를 사용했습니다. 칼을 사용하여 음식을 입에 넣는 것은 보기 흉하지만, 포크를 사용하여 고기를 입에 넣는 것은 더욱 우아해 보입니다. 포크는 엄밀한 의미의 식기이지만, 칼이 없으면 자를 수 없다는 약점이 있어 둘 다 필수다. 영국 상류층에서는 17세기 말부터 세 갈래 포크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8세기에는 네 갈래 포크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서양인들은 400~500년 동안 오직 칼과 포크만을 함께 사용해 왔습니다.

칼과 포크, 젓가락은 식습관의 차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동양인과 서양인의 생활관에도 영향을 미친다. You Xiuling 교수는 칼과 포크가 필연적으로 공유 시스템을 가져올 것이며, 젓가락은 가족이 테이블에 둘러 앉아 함께 식사하는 것과 반드시 ​​일치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서양은 처음부터 음식을 공유해 왔으며, 이는 서양인들이 독립을 중시하고, 자녀가 크면 독립적으로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는 생각과 습관으로 이어졌습니다. 젓가락을 통해 가져온 공동 식사 시스템은 노인과 젊은이가 함께 앉아 있는 가족 단위를 강조하여 동양인에게 상대적으로 견고한 가족 개념을 부여합니다.

다른 전통의 형성이 단순히 식기의 차이와 연관될 수는 없지만, 그들이 이러한 차별화에 적응하고 기여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젓가락은 문화적 전통의 상징이다.

중국 사람들은 미국이나 유럽에 갈 때 여전히 젓가락을 사용하고 그들의 문화가 깊이 뿌리 박혀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젓가락 사용법을 배운 외국인들은 여전히 ​​고국으로 돌아갈 때 칼과 포크를 가져와야 합니다.

어느 것이 더 발전했는지, 젓가락, 칼, 포크는 저마다의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