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중국 전통문화 - 용강진의 민속과 역사 유적

용강진의 민속과 역사 유적

민풍이 순박하고, 인민은 친절하고 후대를 잘한다. 가약민족풍원, 대석반장' 농민문화집' 은 이 마을의 민속풍의 집중적인 표현이며, 조상묘, 모가서원 등 잘 보존된 역사 유적을 대량으로 전해 연구 개발과 관상가치를 지녔다. 초도나루터 홍군이 청수하 유적지를 지나는 것은 개양현 용강진 댐자마을과 용리현 세마장거촌 접경에 있는 청수강 중류 초점 구간에 위치해 있다. 나루터는 청초에 열렸는데, 양안신사의 개인 나루터로, 북안에 절이 세워졌다. 도광은 11 년 (183 1), 초도강의 오랜 범람으로 양안의 나루터, 절, 선가 집, 고도가 모두 파괴되었다. 개주 대정 (이 용강진 대정촌) 신사인 모문다가 모대림 부자인 장봉명 () 이 고도, 절, 선박, 집을 기부하는 데 큰 덕목, 모대림, 부자인 장봉명 () 을 이끌고 있다. 홍군 장정 도중 1935 년 4 월 5 일, 중앙홍군 주력은 홍일, 삼군단이 계양과 두동청수하의 엄호하에 신속히 초도, 건바, 연순에서 청수하를 건너 용리까지, 국민당에 포위된 수십만 대군을 청수하 북쪽과 서쪽에 남겨 초보적으로 실현했다 나루터 양쪽에는 수십 미터의 고도가 있다.

간바강 나루터 홍군은 청수하 유적지 간바강 나루터로 달려가 개양현 용강진 대정마을 하채와 용리현 세마현 현장구촌 중채가 접해 있는 청수하간댐 구간에 위치해 있다. 청대는 개인 나루터로, 나루터 양쪽에 간단한 석판로가 있어 나루터에 도착할 수 있다. 4 월 5-7 일, 1935, 중앙혁명 군위 종대와 중앙홍군 주력은 건댐 나루터에서 청수강을 건너 용리까지, 홍군 본부는 개양장 댐에서 용리서마구채에 주둔했다. "조정군, 서입운남" 의 전략적 배치를 실현하기 위한 든든한 토대를 마련했다. 나루터 양쪽에는 수십 미터의 고도가 있고, 남쪽 해안에는 청대 불도가 하나로 합쳐진 방석상이 보존되어 있는데, 높이는 2.2 미터이다. 개양문화재 종사자들이 용강진 부이족이 모여 사는 대정촌에서 유물을 조사할 때 대정에서 잘 보존된 청대 습자탑이 발견되면서 현지 부이족 신사들이 건설한 모씨 사택과 대정서원 유적지가 발견됐다. 시자보탑과 서원은 각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이족 지역에서는 서원과 시자보탑이 매우 드물다고 한다. 이들은 부이족 문화와 한문화의 융합의 산물이며 부이족이 한문화를 받아들이는 중요한 표시이다.

용강진에서 새로 발견된 묵비, 대정서원, 시자탑은 모두 현지 부이족 신사인 모문다가 발기한-1835), 부이족, 증조부 모응원은 청나라 강희초에 옹안종평에서 왕주현 대정카드 (오늘 개양현 용강진 대정) 로 옮겼다. 두 세대의 노력 끝에 그는 가경의 유명한 개명신사가 되었다. 그래서 모빈다는 1000 여 평방미터의 사택을 지었다. 1830 년 (도광 10 년), 모빈다가 먼저 대경서원과 습자탑 건설을 주창했다. 불행히도 이 학원은 해방 후 대정초등학교로 개조되어 지금은 습자탑만 남았다. 탑은 원대정서원 (현 대정초등학교) 내에 위치해 있으며 탑은 3 층 중공탑으로 높이 5.3 미터, 청석으로 쌓여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1 층 팔각, 정면에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영원히 글자를 아끼지 않고, 명철이 보신한다." 사전을 존중하고 책을 존경하며, 어서가 가깝다. 천자 서민들은 연이어' 때리다' 라는 글자를 사용했다. \ "타워 수리 이유를 설명합니다. 기증자의 이름과 타워 건설 시간은 초서로 반대편에 새겨져 있다. 2 층은 육각형으로 정면에 높이 0.45 미터, 폭 0.25 미터의 작은 아치가 있다. 문의 왼쪽과 오른쪽은 해서체로 "아끼다", "자지" 등의 글자를 새겼다. 아치는 폐지를 탑에 넣어 태우는 데 사용된다. 3 층 사방에는 각면에 해서체' 문',' 펜',' 폭',' 지' 가 새겨져 있다. 3 층 탑 꼭대기는 처마 모양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고 처마 밑에 깊은 기와가 있다. 네 개의 초인종이 원래 3 층 탑의 처마에 걸려 있었지만, 아깝게도 줄곧 온데간데없이 날아갔다. 탑 전체가 혼연일체가 되어 청대 도광년 동안 부이족 거주지의 건축예술과 문화교육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상징한다.

대정부이족 지역 서자탑, 대정서원 유적지, 대정모부의 새로운 발견은 부이족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이족 문화와 한문화의 교류와 사례, 부이족의 점진적인 한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물질적 기반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