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오행 중 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오행 중 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금속의 의미 변화
오물론에서는 물, 불, 금속, 나무, 흙만이 의미를 획득했기 때문에 물과 불은 사용된다. 사람들은 먹고 마시고 따뜻하게 지냅니다. 금속과 나무는 도구를 만드는 원료이고, 흙은 생물과 물건을 운반하는 데 사용됩니다. 5가지 재료는 인간이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이 개발하고 창조한 것이기도 하다. 땅에 우물을 파서 물을 가져오고, 나무를 뚫고 바위를 쳐서 불을 얻고, 금은 사람이 제련하고, 나무는 사람이 자르고 옮기고, 흙은 사람이 황무지를 개간하고 경작하여 만듭니다. 사람들의 영향력과 역할은 모든 곳에 반영됩니다. 오행론의 성숙한 이론에서는 오행이 획득된 것에서 타고난 것, 자연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사람의 건축에 사용되는 나무는 식물과 생명을 상징하는데, 흙은 흙과 농지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흙과 고체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금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금속으로서 금은 (다른 4개 금속에 비해) 가장 인공적인 원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금속의 출현은 인류 생활사에 있어 어느 정도는 문명의 출현을 상징하는 사건이기도 하다. 그러나 만물의 근원인 금은 가장 불합리한 일이다. 다양한 문화 중에서 금속이 만물의 기초가 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러므로 금속으로서의 금은 더 이상 성숙한 오행론의 원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금은 무엇을 상징해야 할까요?
오행설과 고대 그리스, 인도의 원소론을 비교해 보면 고대 그리스와 인도 문화에서는 물, 바람(공기), 불, 흙(흙)이 기본임을 알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이러한 원소들이 분산되어 있었으며, 탈레스와 같은 물을 기본 원소로 삼았거나, 고대 인도 문화에서는 흙(흙), 불을 기본 원소로 삼았습니다. , 바람(氣)은 만물의 기본 요소를 함께 구성하는 4대 원소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오행론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인도보다 나무(생명)가 하나 더 있고 바람(기)이 하나 적습니다. 생명을 자연계에 접목시키는 것은 중국문화의 자연과 인간의 일체화의 특징을 구현한 것이다. 그러나 오행에는 바람(氣)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아 생략이자 결핍이라 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성숙한 오행론에서는 금의 의미와 언급이 금(金)에서 바람(氣)으로 바뀌어야 한다.
바람(氣) 역시 사람의 일상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인데 왜 오물론에서는 설 자리가 없는 걸까요? 우선 바람(氣)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것이며, 완전히 자연스럽고 무한히 풍부한 자원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를 모르고 매일 사용하고 있으며, 공기 부족과 오염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것이 현대인의 문제이다.) 둘째, 바람(氣)은 통제할 수 없고 가공되지 않은 것이며, 물, 불, 금속, 나무, 흙처럼 인간의 발전, 생산, 통제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람(氣)은 오행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오행론의 성숙에 자연적인 장애가 됩니다.
그러나 우주 체계로서 오물질 중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금속은 자연의 원소인 바람(氣)에 자리를 내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성립될 수 없다. 바람(氣)은 공기뿐 아니라 기체의 물질도 상징한다. 이처럼 불, 바람, 물, 흙은 무형, 기체, 액체, 고체의 네 가지 상태를 나타내고, 나무는 이 네 가지를 지닌 생명을 나타낸다. 동시에 단계. 또는 금을 광석으로 사용한다면 흙과 반복되는 고체 상태만을 나타낼 뿐, 기체 상태가 없다는 문제를 바꿀 수는 없습니다.
기(바람)를 만물의 근본으로 삼는 것은 중국의 전통 철학에서 낯설지 않습니다. 사실 기(氣)는 우주의 근원으로서 불, 물, 흙보다 더 중요한 지위를 갖고 있습니다. 물론 이때의 기는 공기에서 생명력으로 더욱 확장되었다. 기의 원리는 중국 철학 전통에서 항상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으며, 이는 우주의 근원과 만물의 근본을 하나의 기에서 귀속시킨다는 것입니다. 하나의 기(氣)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이것은 직접적인 비교입니다. 물, 불, 기타 원소를 원시 원소로 보는 이론은 한 단계 더 나아갑니다. 따라서 금을 기(바람)로 해석하는 것은 독특한 반대 의견이 아니라 중국 문화 전통과 일치합니다.
만물의 근본이 되는 금속을 바람(氣)으로 해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오행의 내부 구조와 상호관계를 설명할 때도 그래야 합니다. 고대 인도 문화에서는 흙, 물, 불, 바람의 네 가지 요소 사이에 본질적인 연결이 없는 반면, 중국의 오행 이론은 생명(나무)을 자연 시스템에 통합하는 뚜렷한 내부 연결과 역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행은 인위적인 요소가 없는 자족적인 자연계이기 때문에 인공물로서의 금(금속)은 그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고 자연풍(氣)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 오행의 상호 생성 순서는 목(木), 불(fire), 토(土), 금(金), 물(water)이며, 물은 나무를 생성하고, 순환은 서로 생성한다. 상생의 측면에서 금은 흙에서 나오고, 금은 물을 생산하는데, 흙에서 생산된 금은 모래에서 금을 채취하거나 흙에서 광석을 생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자연적인 현상이 아닙니다. 토양에서 광석을 생산하는 것도 인공적으로 채굴되어야만 실현되거나 완료될 수 있으며, 금은 어떻게 물을 생성할 수 있는지, 광석은 어떻게 물을 생성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습니다. 용광로에서 제련하여 액체로 변하는 것, 인공적인 활동을 하는 것, 이런 액체의 고온 금수는 나무를 태워 죽일 뿐, 나무를 자라게 할 수는 없습니다.
또는 운금속은 수증기를 흡수하여 이슬방울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금속이 물을 생성하는 데 적합한 용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얻은 물은 나무에 물을 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금을 금속이나 광석으로 해석한다면 오행의 상호생성설은 정당화될 수 없다. 그리고 금속을 기(바람)로 해석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지구는 금속을 생성합니다. 즉, 지구에서 수증기와 기타 가스가 증발하고, 금속은 물을 생성합니다. 즉, 수증기가 지구에서 증발하여 높은 고도로 올라가 구름이 차가워지면 구름이 됩니다. 비를 맞고 땅에 떨어진다. 빗물은 나무, 즉 수생 나무를 관개합니다. 이것은 완벽하게 이해됩니다.
오행(五行)의 상호승리(억제)는 금(金), 목(木), 흙(土), 물(土), 불(熱)의 순으로 불도 금을 이기고, 순환이 서로 이기는 법이다. 그중에서 불은 금속을 이기고, 금속은 나무를 이깁니다. 불이 금속을 압도하는 것은 용광로의 불이 금속을 녹여 금속을 액체 상태로 바꾸는 것으로 설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인위적인 활동이며 자연불은 스스로 금속을 녹이지 않습니다. 진케무는 금속으로 만든 칼이나 도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나무를 베는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이 가장 쉬운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여전히 수작업이며 금속 물체는 결코 스스로 나무를 자르지 않습니다. 금속을 기(바람)로 해석하면 불은 금속을 이깁니다. 즉, 불은 바람이 가져온 추위를 상쇄할 수 있고, 기류(바람)의 상태도 어느 정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진케무는 바람이 나무를 흔들거나 부러뜨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외부적인 인적 요인이 없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며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습니다.
그러므로 오행의 본질적인 관계의 관점에서 보면 금을 금속이나 광석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바람(氣)으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다. 그러므로 성숙한 오행론은 금속을 기(바람)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는 오물론에 비해 근본적인 변화임은 물론이다.
오행론의 진화 과정에서 금의 의미 변화에 대해 명확한 설명은 없지만, 선인들은 오행론을 전개하고 적용할 때 이 문제를 지적해 왔다. 예를 들어 한의학에서는 오행(五行)을 오장(五臟)으로 삼아 폐는 금에 속하고, 신장은 물에 속하며, 간은 목에 속하고, 심장은 화에 속하고, 비장은 오장에 속한다고 믿는다. 폐와 금속 사이의 연결은 매우 예시적입니다. 금을 금속으로 해석하면 폐와 금속이나 광석 사이의 연관성을 상상할 수 없기 때문에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폐는 공기를 호흡하는 호흡 기관으로 당연히 기(氣)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오행론을 적용할 때 한의학 이론이 금이 금속이 아닌 기(바람)를 대표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음을 보여준다.
오행, 사계, 오방의 관계로 볼 때 전통관에 따르면 나무는 동쪽을 나타내고, 불은 남쪽을 나타내며 여름을 나타냅니다. 금은 서쪽과 일치하여 가을을 나타내고, 흙은 중간에 있어 사계절을 나타냅니다. 금을 서쪽과 연관시키는 것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나 가을은 추위와 따뜻함이 교차하는 계절입니다. 잦은 서풍과 상쾌한 가을 공기는 고대인들이 금과 바람의 관계를 추측했음을 보여줍니다. ). 금을 금속으로 사용한다면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오행과 팔괘의 관계로 볼 때 금은 바람(氣)을 상징해야 합니다. 팔괘와 오행은 서로 다른 사고체계에서 유래합니다. 오행은 오행에서 유래하는데, 원래 팔괘는 사람이 사용하고 만든 가장 기본적인 다섯 가지 사물을 관찰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자연계의 단계. 즉, 오행은 본래 인간의 실천활동의 대상이자 산물로서 인위적이고 실용적인 함축을 담고 있는 반면, 팔괘는 인간이 관찰하는 자연물로서 독창적이고 자연적인 특성을 지닌 것이다. 그러므로 고대 그리스, 인도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화에도 원소론이 부족하지 않으나, 이 이론은 오행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팔괘에서는 반영된다.
팔괘에서 하늘(건)과 바람(순)은 기(氣)를 의미하며, 실제로는 땅 밖의 대기를 의미하며 땅(곤)과 산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Gen)은 동일하여 땅을 나타내고, 흙과 돌은 원래 하나이며, 천둥(zhen)은 불(li)과 동일하여 불을 나타내며, 천둥과 번개도 일종의 불(kan)입니다. 는 물을 나타내는 ze(dui)와 동일하며, ze는 물론 물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팔괘는 실제로 공기(바람), 땅, 불, 물의 4원소가 확장된 것이며 8괘와 협력하기 위해 이 4원소를 8개의 자연적인 물리적 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1) 팔괘와 오행을 비교하면 오행에는 목(생명)이 하나 더 많고 기(바람)가 하나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팔괘는 항상 자연적인 육체적 모습을 말하므로 생명체계를 더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행 중 기(풍)가 부족하면 완전한 우주체계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금은 기(풍)로 방출되어야 합니다.
Zhu Zhenzhi에 따르면 Bagua를 사용하여 오행을 일치시킬 때 Zhen과 Xun은 나무, Li는 불, Kun과 Gen은 흙, Qian과 Dui는 금, Kan은 물입니다. Qian과 Dui를 사용하여 금을 섞으십시오. Qian은 끝없이 순환하는 대기입니다. Dui는 호수입니다. 그 안에는 항상 밀도가 높고 김이 나는 공기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Qianhedui는 금속과 관련이 없지만 기(바람)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금도 기(바람)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팔괘와 오행을 결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주로 팔괘가 생명(나무)이 없는 자연 시스템인 반면, 오행은 전체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우주의 생명을 담고 있습니다. 이 둘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팔괘에서 나무(생명)에 해당하는 대상상을 찾아야 한다. 칸수는 불에서 분리되고, 곤과 겐은 흙이다. 금이 기(氣)로 나올 때 줄기는 금(金)이어야 하고, 덕(目)은 자(母)로 귀속되어야 할 것 같지만, 이미 물을 대표하는 칸이 있으므로 덕은 기(氣)에 귀속되어야 하는데 이는 건과 같다. . Xun은 바람과 나무(이 Zhuan에서 발견됨)이므로 나무에 귀속됩니다. Zhen은 나무에 귀속되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 나무는 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지진은 나무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명은 항상 다소 어리둥절하게 느껴집니다. 오행과 사계 오방을 일치시키는 것처럼, 서로 다른 이론 체계를 강제로 하나로 결합한 것처럼, 상당히 설명할 수 없는 느낌입니다. 그러나 고대인들이 이렇게 설명했을 때 그들은 이미 금을 기(바람)로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