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중국 전통문화 - 고양이는 언제 중국에 소개되었나요?
고양이는 언제 중국에 소개되었나요?
서한말에 도입되었다는 답변이 있으나, 현지에서 국산화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중국 전통 회화에서는 '나비를 잡는 고양이'의 패턴이 매우 흔하지만, 현실에서 고양이는 나비를 잡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이 그림은 왜 일반 사람들의 집에 들어갈 정도로 인기가 많을까요? 알고 보니 고양이와 나비의 동음이의어 발음은 "一老"(일반적으로 70세 이상 노인, 일반적으로 80세 이상 노인을 지칭함)로, 노인이 장수하기를 바라는 아름다운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옛 베이징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고양이와 나비' 그림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십이지에는 고양이가 없습니다. 고양이는 수입되었기 때문에 서한 말기에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춘추시대에는 '고양이가 들쥐를 먹는 것을 환영한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전 세계 야생 고양이 31종 중 중국에는 약 10종이 있어 가축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송나라 이전에는 고양이는 작은 동물이고 장점이 없어 회화에 거의 사용되지 않아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송나라에서는 미적 취향이 바뀌어 당나라의 과장되고 절제된 스타일이 날씬하고 절제된 스타일로 바뀌었습니다. 당나라의 국화는 모란(즉, 모란을 당나라에서는 모란이라 부르지 않고 목모란이라 불렀음)이었는데, 송나라의 국화는 매화로 된 것을 이에서도 알 수 있다 .
송나라는 중국 고양이 사육 산업에 있어 유례없는 번영의 시기였습니다. 남송의 수도 항저우를 예로 들면, 고양이 둥지, 메기, 고양이 판매, 고양이와 개 교환 등 일련의 서비스 산업이 등장했습니다. 『현춘임안지』에 따르면 남송(南宋)의 수도(현재의 항저우시)에 있는 사람, 동물, 고양이는 모두 사람, 동물, 고양이였으며 귀중품과 같은 길고 흰 털을 가진 수입 페르시아 고양이였다. 사자와 고양이는 매우 귀중했습니다. 그의 식단에는 구운 돼지 간과 머리카락에 수분을 공급하는 음식이 포함되었습니다. 소동파는 “위엄 없는 사람을 보면 고양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이는 고양이를 이용해 국정을 이야기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고양이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습니다.
송나라 시대부터 고양이는 페르시아 왕조의 주인공이 되기 시작했다. 고양이의 깊은 눈 때문에 남송과 북송의 그림 속 고양이는 대부분 붉은색 비단줄로 묶여 있었는데, 이는 장식일 뿐만 아니라 우울한 느낌이기도 했다.
그러나 기존 송나라 회화자료를 보면 '고양이가 나비를 잡는다' 문양은 많지 않고, '개가 나비를 잡는다' 문양이 더 많다. 당시의 그림은 사실적일 뿐 심오한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송나라 육유는 “물고기 매듭이 가늘더라도 꽃 속에서 나비를 잡느라 바쁠 필요가 없다. 정말 뻔뻔한 일이다”라고 썼다. .
그러나 송나라 시대의 '고양이 새 그림'과 '모란 고양이와 참새'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실제로 비슷한 주제는 진 왕조의 무덤에서 볼 수 있으며, 송과 금 왕조에서도 여전히 발견됩니다. 포획된 새는 『시경』에 나오는 뽕나무호랑이로 통칭 푸른새, 살찐새로 알려져 있다. 고대인들은 사람의 유지방과 유지방을 훔치는 데 능숙하다고 믿었으므로 지방 도둑질이라고 불렀습니다. 고대에는 지도가 기(氣)와 같아서 고양이와 함께 있는 것을 '대추기'라고 하여 장수를 의미하였다.
때때로 고양이와 까치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고양이의 입은 살찐 새임에 틀림없으며 까치는 그 위만 맴돌고 있을 뿐입니다. 까치는 행운의 상징이고 절대로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희생자. 이후 이 구도가 인기를 얻었으나 까치가 제비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 그림에 활력을 더한다.
새가 나비로 변신하는 일은 송나라 이후에 일어났어야 했다. 안송은 원나라 화가의 '봄을 구하는 고양이와 나비'를 수집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생일 그림인 것 같았으나 원본 그림이 없어 확인이 어렵습니다. 청나라 황한(黃毛)은 저서 『고양이 정원』에서 “현대에는 고양이가 나비를 쫓는 그림이 있는데, 이는 노인의 의미를 가리고 귀를 기원하는 데 사용된다”고 말했다. ?
이 견해에 따르면 고양이가 나비를 잡을 수 있는 권리가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은 청나라 때부터였습니다. 초기에는 고양이가 나비를 물고 있는 모습을 본뜬 디자인이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나중에는 살상 효과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고양이는 애타는 듯한 눈빛으로 나비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는 거의 고정된 패턴이 되었습니다. 혹은 더 오래 살고 싶다면 그렇게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