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당나라 갑옷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나요?
당나라 갑옷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나요?
당나라 시대 중국은 갑옷 기술에서도 세계 최고였다.
1. 당나라 군대의 갑옷과 장비의 비율은 이전 세대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동전』과 『태백음경』 제4권 『병장』을 보면 당나라의 기준은 갑옷을 입은 병사가 전체 병사의 60%를 차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모두가 갑옷을 입은 것은 아니지만, 이 비율은 앞서 언급한 한나라 군대가 착용하는 갑옷의 비율에 비하면 여전히 큰 발전이었습니다. 개원시대 당나라 군대의 수는 54만 명이었고, 완전하게 무장하려면 324,000개의 갑옷이 필요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은 생산성의 발전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시대의 세계에서는 전성기의 동로마군만이 당나라군보다 병력이 많았고 장비도 전반적으로 좋았다.
2. 갑옷의 종류에 대해서는 《당나라 유전》 16권에 다음과 같은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갑옷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밝은 경갑옷이고 다른 하나는 가벼운 필수갑옷입니다. , 세 번째는 얇은 비늘 갑옷, 네 번째는 얇은 비늘 갑옷, 다섯 번째는 검은 망치 갑옷, 여섯 번째는 흰색 천 갑옷, 일곱 번째는 비단 갑옷, 여덟 번째는 천 등 갑옷, 아홉 번째는 보병 갑옷, 열 번째입니다. 가죽갑옷, 열한번째는 목갑옷, 열번째는 사슬갑옷, 열에 세번은 조끼입니다.
위의 갑옷 종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명광 갑옷은 최고의 갑옷으로 꼽히며, 당나라는 명광 갑옷의 전성기였다. 2. 당나라 전성기에도 철로 만들지 않은 갑옷이 많았다. 이는 전술적 요구와 생산 능력 제약 때문입니다. 갑옷 제작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언급하겠습니다. 삼. 체인 메일은 국내에서 생산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다지 높은 평가를 받지는 않습니다. 사슬 갑옷의 성능으로 볼 때, 그런 대접을 받을 만하다.
명광갑옷은 당나라 때 전성기를 누렸다.
당나라 명광 갑옷은 연대순으로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형 1: 용문석굴 전계사의 천왕상으로 대표된다. 이 조각상은 650년 전에 완성되었으며, 갑옷은 가슴 부분에 휘장이 달린 커다란 둥근 갑판이 있다. 벨트 아래 좌우측에는 허벅지를 보호하는 무릎 스커트가 있고, 종아리에도 '걸린 다리'라고 불리는 보호층이 있습니다.
유형 2: 린데 원년(664) 정인태(鄭仁泰)의 무덤에서 출토된 금유도기 인형으로 대표된다. 목과 귀를 보호하는 헬멧을 착용하십시오. 방탄복에도 목 보호대가 있습니다. 방탄복의 앞부분은 왼쪽과 오른쪽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조각의 중앙에는 작은 둥근 갑옷 조각이 있고 뒷면은 전체 큰 데크입니다. . 흉갑과 등갑옷은 양쪽 어깨에 버클로 연결되어 있으며, 갑옷띠는 목 아래부터 가슴 앞쪽까지 수직으로 묶은 뒤 좌우로 나누어 뒤로, 그리고 복부까지 이어져 있다. 벨트 아래 좌우측에 무릎 스커트가 있습니다. 양쪽 어깨에 달린 숄은 2겹으로 되어 있는데, 윗부분은 호랑이 머리 모양이고, 아랫부분은 금색 테두리가 있는 녹색 숄이 호랑이 머리에서 드러나 있다. 나는 이 도자기 조각상이 매우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 유형의 명광 갑옷과 세 번째 유형의 당나라 갑옷이 한동안 공존했습니다.
유형 3: 총회 원년(668) 리솽의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 인형으로 대표된다. 그 중에는 헬멧의 좌우 귀 보호대 바깥쪽 가장자리가 말려져 있고, 방탄복이 목을 보호하기 위해 높이 99.5cm의 금도금된 조각상이 있습니다. 어깨는 용의 머리 모양으로 드리워져 있습니다. 가슴받이는 좌우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위쪽 가장자리에 원형의 꽃장식이 솟아올라 위쪽 가장자리가 띠로 뒷면과 연결되어 있다. 띠의 세로띠는 턱 아래에서 시작하여 고리를 통해 가로띠와 교차하며, 띠의 윗부분에는 원형의 배 보호대가 드러나 있는데, 같은 곳에서 출토된 또 다른 표본에 흉갑이 그려져 있다. 무덤의 흉갑은 산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벨트의 왼쪽과 오른쪽에 무릎 스커트 조각이 걸려 있고, 늘어진 다리는 종아리에 묶여 있습니다. 신룡 3년(707)에 임씨 묘에서 출토된 토기상도 세 번째 유형에 속한다. 그러나 같은 시기 함양 소준 묘에서는 두 번째 유형의 갑옷을 입은 토기 인형 2점이 출토되어 두 유형의 갑옷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형 4 : 장안 3년(703) 두구준 부인 원씨의 무덤에서 출토된 유약토기인형으로 대표된다. 투구의 귀마개는 위로 젖혀져 있고, 윗부분은 긴 술로 세워져 있습니다. 갑옷은 목 보호대 아래에서 가슴까지 수직으로 띠를 띠고 있으며 흉갑은 왼쪽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상단에 원형 데크가 있습니다. 허리띠는 무릎치마와 매꼬리 아래로 늘어져 있고, 늘어진 다리는 아래에 묶여 있다. 어깨는 용의 머리 모양으로 드리워져 있습니다. 이런 형태의 갑옷은 당나라 때 많이 등장했다. 이런 종류의 갑옷은 막고굴(Mogao Grottoes)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Type IV 갑옷도 정말 멋져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유형 5: 둔황 194호 동굴의 신왕상을 대표적인 표본으로 둔황문물연구소가 중당(763~820) 작품으로 지정했다. 투구의 귀 보호 부분이 위로 향하게 되어 있으며, 갑옷의 몸체가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등갑옷과 흉갑을 연결하는 끈이 어깨 앞쪽에 버클로 채워져 있고, 가슴과 허리에는 띠가 묶여 있다. 원형 장갑이 벨트 위에 노출됩니다. 어깨는 호랑이 머리 모양으로 늘어져 있고 다리는 늘어진 다리로 묶여 있습니다. 같은 표본은 율린석굴 제25굴 벽화에 나오는 남왕의 동상이다. 5형 갑옷은 Mingguang Armor의 마지막 형태입니다. 귀마개를 위로 올려놓은 헬멧은 이미 5세대 헬멧의 형태와 유사하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물론 명광 갑옷 외에도 당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갑옷은 '보병 갑옷'이었는데, 전풍 2년에 고씨 묘에서 출토된 채색 도자기 인형으로 대표된다. (667). 투구를 착용한 방탄복은 어깨에 앞뒤로 띠가 채워져 있고, 어깨에는 동물의 가죽 문양이 드리워져 있고, 띠에는 두 개의 커다란 무릎 치마가 늘어져 있고, 그 위에는 여러 줄의 사각 갑옷판이 그려져 있다. . 이종윤의 무덤에는 호랑이 머리 모양의 투구를 쓴 일종의 토기 조각상이 있는데, 그가 입고 있는 갑옷도 보병 갑옷이다. 보병갑옷은 후기 송나라 보병갑옷의 전신이다.
게다가 철갑옷에 들어 있는 경갑옷, 얇은 비늘, 산원, 검은 망치, 사슬 갑옷도 튼튼한 갑옷이다.
당나라 갑옷 종류 소개부터 비단이나 천으로 만든 갑옷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갑옷이 실제 전투장비라기보다는 성격상 의례용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갑옷은 봉건 지배자들에게 군사력의 중요한 담보로 여겨져 사람들이 그것을 소유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습니다. 당나라 법에는 "사사용 무기를 금지하는 자는 1년 반 동안 금지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며, 『당법해석』에는 “사사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무기에는 갑옷, 석궁, 명령에 따라 개인이 소유할 수 없는 창, 철, 장비 등." "목걸이 1개와 석궁 3개, 2천 마일." 아래에 "A는 가죽, 철 등을 가리킨다. 장비는 갑옷과 동일하다. 즉, 남은 것이 있는데 30일 후에도 관에게 보내지 않으면, 사법과 동일하다." "완성하지 않으면 2등급 감소한다. 즉, 석궁, 완전하게 완성되지 않으면 막대가 100이 된다." 즉, 갑옷을 비공개로 제작하는 경우 제작 여부에 관계없이 처벌을 받습니다.
당나라 갑옷 기술에는 일화 같은 소재가 있다. 『당신서·서상의 전기』에는 서상이 산동성 관상에서 병사를 모집할 때 한때 "종이를 접어 갑옷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갑옷"이 활과 화살로부터도 보호된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지만,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이 무기 손상에 대해서는 쓸모가 없으며 유일한 용도는 아마도 군인들을 속이는 것뿐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당나라 때 갑옷 제조를 담당한 부서는 정관 6년(632)에 설립된 '가방부'로 '육법'에 따르면 가방부장은 영이었다. , 그의 직급은 8학년보다 낮았습니다. 이 부서에는 9급 이하의 국무총리 1명과 9급 이하의 감찰관 2명이 있다. 동시에 방어구도 베이두 무기고 감독소에서 제작되었으며 완제품은 무기고에 보관되었습니다.
본체 보호제품인 방어구 제작에는 상당히 노동집약적인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철을 갑옷 조각으로 만든 다음 철을 자르고, 거칠게 갈아서 구멍을 내고, 구멍을 뚫고, 자르고, 가장자리를 엇갈리게 합니다(왼쪽은 "禾"이어야 함). 손톱 조각을 잘게 갈아서 가죽 조각을 갑옷에 땋아 사용합니다. 피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안감도 달려 있습니다. 일본의 확장 5년(927년) 당나라 이후 편찬된 『연희류』 『효고요』 제49권에 따르면 철갑옷 한 벌을 만드는 데 영업일 기준 192~265일이 걸린다고 한다. 갑옷 한 벌을 수리하려면 41명의 일꾼이 필요합니다.
'당서전'에 따르면 당나라의 갑옷은 대, 중, 소의 3가지 크기로 나누어 체형에 따라 발행되었다. 갑옷은 매우 무겁기 때문에 병사를 선택할 때 중요한 조건은 '승리의 갑옷'이다. 갑옷을 입고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은 확실히 군인이 되기에 적합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