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생태윤리의 기본 개념은 무엇인가요?

생태윤리의 기본 개념은 무엇인가요?

생태윤리는 전통적인 윤리학의 많은 용어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몇 가지 새로운 개념적 도구를 만들어냅니다. 생태윤리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각 학파 역시 그 나름의 명확한 명제를 갖고 다양한 범주를 형성하고 있다. 생태윤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예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1? 도덕적 행위자는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 개체를 말하며, 이러한 능력에 따라 개체는 도덕적이거나 부도덕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고 특정 의무와 책임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들의 행동의 결과. 이러한 능력에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능력, 특정 선택에 대한 도덕적 이유를 판단하는 능력, 그러한 판단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능력, 이러한 결정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능력, , 그리고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행동을 스스로 설명하는 능력 등 분명히 모든 사람이 도덕적 행위자는 아닙니다. 정신적으로 건전하고 어느 정도 합리성을 지닌 사람만이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자격을 갖습니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이성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예: 유아, 정신 질환자, 치매 환자)은 도덕적 행위자가 아니며, 우리는 그들에게 도덕적 행동의 완전한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하도록 요구할 수 없으며 도덕적 가정을 요구할 수도 없습니다.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

2? 도덕적 고객 도덕적 고객은 도덕적 행위자가 도덕적 의무와 도덕적 책임을 갖고 있고, 옳거나 그른 행동을 할 수 있는 존재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생태윤리학자들은 한 존재가 도덕적 고객이 되려면 그 자신의 이익, 가치, 목적을 가져야 한다는 데 동의합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생태윤리학자(특히 비인간중심적 생태윤리학자)는 종종 모든 존재의 이익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을 합니다. 일부 생태윤리학자들은 기업이 고유한 가치나 내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한 도덕적 고객이 될 자격이 있다고 믿습니다. Taylor는 다음과 같이 지적합니다. "아마도 윤리적 고객에 관해 가장 윤리적으로 중요한 사실은 윤리적 대리인이 윤리적 고객의 관점에서 사물을 볼 수 있고 윤리적 고객의 관점에서 윤리적 고객을 어떻게 대할지 결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암시적 윤리적 함의 이 명제는 (결정을 내리는 도덕적 행위자의 복지가 아니라) 도덕적 고객의 진실성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것이 문제를 판단하는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3? 도덕적 지위 도덕적 지위 도덕적 행위자의 도덕적 삶에서 존재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리킨다. 톰 리건(Tom Regan)에 따르면, “우리가 특정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또는 특정 정책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결정할 때 도덕적으로 고려하는 존재인 경우에만 존재는 도덕적 지위를 갖습니다. “이 행동이나 정책이 개체에 미치는 영향.” 즉, 개체의 이익이나 가치를 행동이나 규칙이 도덕적인지 판단하는 요소로 간주하여 도덕적 지위를 획득하고 도덕적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는 것입니다. 도덕적 왕국의 모든 도덕적 고객은 동등한 도덕적 지위를 가지며 도덕적 왕국의 구성원입니다. 개체의 도덕적 지위는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제약이며, 이는 도덕적 행위자가 도덕적 지위를 가진 개체에 대한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해 도덕성을 사용하도록 요구합니다.

4. 선천적 가치 선천적 가치는 내재적 가치 또는 내재적 가치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존재 자체가 목적으로 유지되는 한 선천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가치는 존재하는 사물이 존재하는 날부터 소유하게 된다. 이것이 레이건과 테일러가 '생명의 주체'와 '생물의 목적 중심'의 타고난 가치를 이해한 방식이다. 그들이 이 개념을 사용하는 목적은 인간을 본질적인 가치로만 보호하는 서구 윤리학(특히 칸트의 이론적 교리)의 한계를 돌파하는 것입니다. 서구 생태윤리학이 이해하는 '목적'은 비교적 광범위하다. 자연적 실체가 생물학적 의미에서 자기 재생산 능력, 생태학적 의미에서 자립 경향, 사이버네틱스적 의미에서 자동 균형 기능을 갖고 있는 한, 그것은 그 자체의 목적과 타고난 가치를 지닌 존재이다.

5?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을 자연의 정복자이자 지배자로 여기며, 도덕의 범위에서 자연을 배제하는 전통적인 서구의 윤리사상이다. 인간관계를 규제하는 규범이고, 인간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도덕의 목적이며, 자연은 인간의 욕망과 필요를 충족시키고 실현하는 도구일 뿐입니다. 인간중심주의의 기본은 인간만이 도덕적 주체이고, 인간이 아닌 모든 존재는 도덕적 주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인간이 아닌 모든 존재에게 도덕성을 이야기하면 되는 것이지, 즉 도덕적 관계는 인간과 다른 존재 사이(혹은 다른 존재 사이)가 아닌 인간 사이의 관계일 뿐이라는 것이다. 오직 인간 사회만이 도덕적 공동체이며, 다른 어떤 실체도 도덕적 공동체를 구성할 수 없습니다. 인간중심주의는 형성 시기에 따라 고전적 인간중심주의(구체적으로는 자연목적론, 신학적 목적론, 이원론, 합리적 우월론으로 구분된다)와 현대 인간중심주의로 나눌 수 있다. 현대 인간중심주의는 자연에 대한 태도의 상당한 차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강한 인간중심주의와 약한 인간중심주의로 나누어진다.

6? 자연 목적론 자연 목적론은 다른 자연 존재자들이 도구적 가치만 가질 뿐이므로 우리는 그들에 대해 직접적인 도덕적 의무를 갖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이 견해의 대표적인 인물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7? 신학적 목적론은 신, 천사, 사람, 동물, 식물 및 순수 사물이 존재의 계층적 사슬을 형성한다고 믿습니다. 신은 가장 완벽합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이 두 번째입니다. . 다른 존재들의 완전함은 그들이 하나님과 얼마나 가까웠는가에 달려 있으며, 덜 완전한 사람들은 더 완전한 사람들에게 복종합니다. 중세 스콜라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8? 이원론(Dualism) 이원론은 인간은 육체뿐 아니라 불멸의 영혼이나 정신도 가지고 있는 반면, 동물과 식물은 육체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동물이나 식물보다 더 높은 수준의 존재라고 믿습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데카르트이다.

9? 이성 우월 이론 이성 우월 이론은 오직 인간만이 이성 세계의 구성원이고 따라서 오직 인간만이 (합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 돌봄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동물은 이성적 존재가 아니며, 비합리적 존재에 대한 인간의 어떠한 행동도 이성적 세계의 실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단지 도구로만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합리적 우월성 이론은 서구 문화의 오랜 전통이다. 근대에 칸트는 이성의 우월론을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10? 강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전체 생태계의 '중심'이자 세계의 절대적인 '주인'이라고 믿습니다. 인간이 아닌 자연물. 강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우월성을 무조건 기계적으로 강조하며, 인간이 세계의 유일한 주인임을 강조하고, 자연의 모든 것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며, 인간의 필요와 이익이 다른 자연물이 존재가치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믿는다. .

11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생태계의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관리자이지만 이것이 인간이 자연의 법칙을 무시하고 자연을 주도하고 자연을 정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당신이 원하는대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다룰 때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지구적 의식, 생태의식, 지속가능한 발전의식을 구체적인 개념적 요소로 삼는다.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인류의 전반적인 이익과 궁극적 가치에 관심을 두지만, 사회의 발전과 자연의 발전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자연의 권리와 본질적인 가치도 인정합니다.

12. 동물중심주의 동물중심주의는 동물을 도덕적 관심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인간 활동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도 동물에게도 다양한 정도로 영향을 미칩니다. 동물 권리 문제는 생태 윤리에서 논의되는 구체적인 문제 중 하나로 전통적인 인간 중심적 도덕 체계를 깨뜨리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 동물중심주의는 원래 인간중심주의의 동물보호사상에서 생겨났지만, 인간중심주의의 동물보호사상과는 분명히 다르다. 특히 호주 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가 대표하는 동물해방론과 미국 철학자 톰 레이건(Tom Reagan)이 대표하는 동물권리론은 진정한 동물중심주의를 확립했다. 동물중심주의는 인간중심주의의 동물보호사상에서 파생된 것으로, 현대의 '인(仁)'을 경험한 뒤 마침내 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윤리적 관점을 형성했다.

13? 인(仁) 인(仁)주의는 인간이 동물을 잘 대해야 하며, 동물도 인간처럼 '자연권'을 누려야 한다고 믿으므로 동물도 권리주체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뜻이다. 17세기와 18세기에 일부 유럽과 미국의 사상가들은 이러한 이론적 명제를 제시했습니다.

14? 동물해방론 동물해방론은 동물에 대한 도덕적 관심의 확장을 의미하며, 인간은 동물을 종속적 지위에서 해방시켜야 한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피터 싱어(Peter Singer)이다. 그의 저서 『동물해방』은 동물보호운동을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에서 동물권에 대한 관심으로 한 단계 끌어올린 인물이다. 그의 이론의 철학적 기반은 제롬 벤담의 18세기 공리주의이다. 동물해방론은 고통과 기쁨을 느끼는 능력이 이익을 소유하고 도덕적 돌봄을 얻기 위한 충분조건이라고 주장한다. 동물은 고통과 기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해방되어야 한다.

15? 동물권리론 동물권리론은 동물에게도 자연권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1983년 『동물권리를 옹호하며』를 출간한 미국의 철학자 톰 레이건이다. 이 책은 철학적 관점에서 '동물권'에 대한 가장 철저한 반성으로 평가된다. 그는 동물에게도 권리가 있다고 가정해야만 인간이 동물에게 불필요한 해를 끼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동물권 이론은 인간의 자연권 존중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이유가 동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주장합니다.

16? 생물중심주의는 모든 생명체를 윤리적 배려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뜻이다. 많은 생태윤리학자들은 동물을 도덕적 비전에 포함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광범위하지 않으며 동물 이외의 생명에 필요한 도덕적 배려가 부족하다고 믿습니다. 생물중심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관심이 지각을 가진 고등동물뿐만 아니라 하등동물, 식물, 모든 생명체에까지 확장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래야만 인간은 어떠한 중앙집권주의도 초월할 수 있고, 어떤 존재에도 존재론적 우선순위를 두지 않으며, 만물을 가치 있게 여기는 새로운 시대로 나아갈 수 있다.

생물중심주의는 크게 슈바이처의 생명존중 사상과 테일러의 자연존중 사상으로 나누어진다.

17. 생명을 존중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모든 의지를 존중하고, 자신 밖의 모든 삶의 의지를 자비로 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는 선의 본질은 생명을 유지하고 생명을 증진시키며, 발전 가능한 생명이 최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악의 본질은 생명을 파괴하고 생명을 해치며 생명의 발전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

18. 자연에 대한 존중은 인간이 지구의 생물학적 공동체의 구성원일 뿐이며 다른 종과 마찬가지로 다른 생명체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인간이 깨달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상호 의존적 시스템의 유기적 구성 요소입니다. 각 유기체는 삶의 목적의 중심입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다른 생물보다 우월하지 않습니다. 폴 테일러(Paul Taylor)는 이 이론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자연에 대한 존중은 인간의 우월성을 버리고 종의 평등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임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다.

19? 생태중심주의는 도덕적 관심의 대상을 무생물 생태계, 자연 과정 및 기타 자연 존재로 식별하는 생태 윤리학파입니다. 생태중심주의는 생태윤리가 총체적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즉, 자연물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종과 생태계와 같은 생태학적 "전체"를 직접적인 도덕적 지위를 가진 도덕적 고객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생태중심주의는 자연계가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철학적 전제를 바탕으로 하며, 주로 토지윤리와 심층생태학, 그리고 이 둘을 계승 발전시키는 자연가치론을 포함한다.

20? 토지윤리 토지윤리는 진정한 환경윤리, 즉 인간의 생존과 복지에 의미가 있어서가 아니라 자연 자체가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며, 인간이 자연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한다. 세계. . 그 대표적인 인물이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다. 그는 인간이 공동체의 범위를 토양, 물, 식물과 동물, 그리고 지구 전체로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다. 인간은 이 공동체의 한 구성원일 뿐이며 함께 사는 다른 구성원뿐만 아니라 생명의 공동체 자체도 존중해야 합니다. 사람이 공동체에 사는 한, 그는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과 공동체 자체를 존중할 의무가 있습니다.

21? 심층 생태학이란 생물권 전체가 평등하며 모든 생명체가 생존하고 발전할 권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인간은 충분한 이유 없이 다른 생명체를 파괴할 권리가 없습니다. 같은 몸을 이루고 있는 다른 존재들과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것. 노르웨이의 철학자 알렌 네스(Arlen Ness)는 1974년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을 창시했습니다. 그녀는 모든 종을 보호해야 하며 자연을 초월하는 인간의 태도를 부정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22? 자연가치론 자연가치론은 자연 자체가 인간에게 의존하지 않는 본질적인 가치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인간은 자연의 객관적 가치에 기초하여 자연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갖는다. 홈즈 랠스턴(Holmes Ralston)은 자연가치론의 대표적인 인물로, 그는 자연물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 속성이 자연물이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하여 스스로의 생존과 발전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상호의존과 상호경쟁의 공진화는 자연 자체의 복잡성과 창의성을 증가시켜 생명을 다양화와 정교화의 방향으로 진화시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