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전통 미덕 - 중국 전통철학의 지식과 행위의 개념과 현대적 의미
중국 전통철학의 지식과 행위의 개념과 현대적 의미
중국 전통철학의 지식과 행위의 개념과 그 현대적 의미
중국철학에서는 지식과 실천의 관계를 지식과 행위의 관계로 표현한다. 공자(孔子)부터 손중산(孫文)에 이르기까지 그들은 지식과 행위에 대한 논의를 매우 중시했으며 많은 심오한 사상을 내놓았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행동이 지식보다 앞선 것이고, 행동이 지식을 낳습니다. 유물론적 성향을 지닌 일부 철학자들은 대부분 행위가 지식에 앞선다고 믿으며, 지식은 행위에서 나온다고 주장하며 어느 정도 실천이 지식의 기초이자 원천임을 단언한다. 공자는 "실천할 에너지가 충분하다면 문학을 공부하라"고 말했다. 지식을 익히는 것(문학을 배우는 것)보다 '하는 것'을 먼저 생각하세요. 묵자는 "말이 반복될 만큼 충분하면 반드시 하고, 실천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항상 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말과 행동이 일치함을 강조하는 사람은 존경받을 만하다. 순자는 '걷는 것'을 출발점과 목적지로 삼아 '듣지 않는 것이 듣는 것보다 나쁘고, 듣는 것이 보는 것보다 나쁘고, 보는 것이 아는 것보다 나쁘고, 아는 것이 하는 것보다 나쁘다'고 지적한다. 연습하면 그만이야." 그는 또한 인지에 있어 '걷기'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높은 산에 오르지 않으면 하늘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없고, 올라가지 않으면 하늘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없다." 냇물이 깊어 땅이 얼마나 두꺼운지 알 수 없느니라." 진나라 이래 모든 왕조의 유물론적 경향을 지닌 철학자들은 '알기 전에 행동한다'는 개념을 논의해 왔으며, 가장 대표적인 사람은 명청 시대의 왕부지(王寧治)가 '알기 전에 행동한다'는 개념을 확립하였다. "알기 전에 행동한다"는 것은 "지식과 행위는 상생한다", "지식과 행위는 공덕을 이룬다"는 단순한 유물론의 비교적 완전한 지식과 행위 이론이다.
둘째, 명확하게 아는 것은 지식에 기초한다. 많은 유물론 철학자들은 행동에서 지식의 지도적 역할을 변증법적으로 확증합니다. Xunzi는 "분명히 아는 것"은 "실수 없이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두 가지 유형의 사람들이 있다고 믿습니다. 한 유형의 사람들은 행동하기 전에 알고 자신의 지식을 사용하여 행동을 안내합니다. 다른 유형의 사람들은 알지만 행동하지 않고 알고 행합니다. 연락이 닿지 않는 것은 "악당"입니다. 『예서?대학』은 8가지 항목(사물을 탐구하여 지식을 얻음, 성실함, 의로움, 수양, 가정을 다스림, 나라를 다스림, 화평함) 중 가장 위에 '학습하여 지식을 얻음'을 두었다. 세계). 왕부지는 "지식과 행동은 언제나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열심히 연습한 후에야 아는 것이 진실이 된다"고 강조했을 뿐만 아니라 "아는 것은 행하고 듣는 것에서 나온다"고 제안했습니다. 쑨원(孫文)은 "진보는 지식에 기초한다", "아는 사람은 그것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고, 인간의 이해는 "행동함으로써 아는 것, 앎으로써 수행하는 것", "당신이 하는 일을 하는 것"에 기초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모르면 안다”, “이미 알고 있으니까” 우리는 더 많이 알고 행하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전진하고 있다.”
셋째, 지식을 검증하는 연습, 지식을 증명하는 연습이다. 공자는 "그의 말을 듣고 그의 행동을 관찰하라"고 제안했습니다. 묵자는 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세 가지 기준, 즉 이전 사람들의 간접적 경험, 대중의 직접 경험, 지식을 테스트하는 기준으로 사회 정치에 적용한 실제 효과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Xunzi는 귀중한 지식과 연설이 "검증 가능하고 실행 가능"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Han Fei는 테스트 이해를 위한 표준으로 "파라메트릭 테스트"를 제안했습니다. "파라메트릭 테스트"의 표준에는 사실의 정리 및 비교, 경험의 상호 참조뿐만 아니라 실제 효과의 검증도 포함됩니다. Wang Chong은 모든 종류의 지식과 언어에 대해 "진위를 결정하고 허위와 현실을 구별"하기 위해 "효율성"을 사용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쑨원은 그 이해가 올바른지 아닌지는 행동으로 증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유용할 수 있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넷째, 지식과 행동은 함께 가야 하며 서로 활용되어야 한다. 지식과 행위의 변증법적 관계와 관련하여, 중국 철학사에서 많은 유물론 철학자들은 지식과 행위가 서로 손을 잡고 서로를 촉진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 중에서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은 상생한다', '알고 행하는 것이 공덕이 된다'는 왕어지의 논의는 가장 명확하고 심오하다. 그는 먼저 아는 것과 나중에 행하는 것 사이에 날카로운 선을 긋는 것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의 차이를 혼동하고 우선 순위를 취소하는 '알고 행하는 통일' 이론에도 반대했습니다. 지식과 행위를 혼동하는 일부 이상주의 철학자들의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지식과 행위가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남송(南宋)의 주희(朱熙)가 말했듯이, “더 명확히 알수록 더 열심히 수행하게 되고, 더 열심히 수행할수록 더 분명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명나라의 왕수인(王守仁)은 “지식은 행위의 이념이고 행위는 알기 위한 노력이며 지식은 행위의 시작이며 행위는 지식의 완성이다”라고 말했다.
중국 전통철학의 지식관과 행위관은 당시 사회적 조건의 제약으로 인해 역사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들이 제시한 많은 심오한 통찰은 여전히 우리에게 유익합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주의 깊게 요약하면 마르크스주의 인식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마르크스주의 인식론을 풍부하게 하고 발전시키는 데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