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대전망 - 중국 전통문화 - '제국과 커뮤니케이션' - '시간과 공간' 미디어의 '편향되지 않은' 유기적 균형 탐구

'제국과 커뮤니케이션' - '시간과 공간' 미디어의 '편향되지 않은' 유기적 균형 탐구

? 이니스의 고전적 이론 걸작 중 하나인 『제국과 소통』으로, 나는 이니스의 다른 작품 『소통의 편향』과 함께 이 책을 읽는 것을 선호한다. 두 작품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 뿐만 아니라, 이 두 고전은 저널리즘과 매스커뮤니케이션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암묵적인 이해와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니스의 견해를 요약하자면, 우선 '편견'이라는 단어가 그 견해의 하이라이트이다. 그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시간 편향 미디어'와 '공간 편향 미디어'로 구분했는데, 전자는 시간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양피지, 돌비문 등과 같은 보다 대표적인 매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로 파피루스와 종이는 거리의 한계를 깨고 공간의 확장을 촉진하는 '진보적' 매체로 여겨진다. "시간 편향"이든 "공간 편향"이든, 두 범주 각각에는 고유한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비록 석재 비문은 시간을 초월할 수 있지만 운송이 어렵고 종이는 운송 및 생산의 단점을 극복합니다. 하지만, 또한 "시간"에 국한되어 전파되는 정보는 현재에 국한되어 의사소통의 폭과 깊이가 크게 감소합니다.

? 두 개의 "편향"은 시간과 공간을 기둥에 매달린 동일한 바구니에 담는 것처럼 보입니다. "시간의 편향"과 "공간의 편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핵심입니다. . 고대 커뮤니케이션이든 현대 커뮤니케이션이든 영원한 주제입니다. 이 균형은 들보에 매달린 바구니가 넘어지거나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시간'과 '공간'이 '균등하게 나누어' 있어야 하고, 그만큼 '비와 이슬이 균등하게 노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시대의 영원한 화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도 '균형상태'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고 힘든 과제이기 때문이다. '시간 편향'이 현재와 미래로 연결된 과거에 초점을 맞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사회 현상을 제시한다면, '공간 편향'은 '기술과 세속성'을 대변하는 현재와 미래에 좀 더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차이는 두 '편향'이 균형을 이루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한문은 행정관리의 기초를 제공하지만 공간에 따른 제국의 조직을 강조하고 시간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이는 중국이 항상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왕조의 변화입니다. 상상해 보세요. "시간 편견"과 "공간 편견"이 "비편향"될 수 있다면 과거 중국은 어떤 제국이었을까요?

사실 '찬반이 공존한다'는 것은 객관적인 삶에서 모순되는 정상적인 상태이기도 하다. 이니스가 말했듯이 "이 작품을 포함한 모든 저작물은 구전 전통의 생명력과 문명의 건전성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표면적으로 우리 대부분의 독자(시청자)는 "이것은 엄청난 진전이다"라고 느낄 것이다. '구전전통'에서 '문서'로, 인류사에 기록될 수 있는 시대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다. 그러나 구전전통 역시 그 자체의 생명력과 문명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저작물에도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니스가 발견한 '진보 확산과 문명의 관계'는 바로 이 점을 확증해 준다. 우리 대부분은 미디어의 변화와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이 인류 문명의 발전을 촉진했다고 믿고 있지만, 이니스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이 내재된 '커뮤니케이션 편견'으로 인해 문명의 본질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활력, 화합, 건강 등 많은 요소가 파괴되고 심지어 해체됩니다.

? 이니스의 작품을 읽어보면 이니스 자신도 '구전 전통'의 가치, 특히 그리스 구전 문명에 대한 인식을 매우 확신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의 이상적인 제국. 당시 그리스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구두 매체에 의존했지만 '시간과 공간'의 균형을 잘 이루고 정치와 종교를 통합하며 시간과 공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

? 나는 <제국과 통신>을 인류가 '시간 편향 미디어'와 '공간 편향 미디어' 사이의 균형을 탐구하는 '선구자' 작품으로 보고 싶다. 이러한 '비편견' 사이의 지점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는 흥미롭고 현실적인 명제이다. 일종의 '시대의 계승'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는 인류 역사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치주제이다.